본문 바로가기
이슈매거진

유튜브 알고리즘, 유튜브 AI의 원리 유튜브 링크 공유 방법

by 원탁의기사 2021. 8. 19.

여러분은 집에서 심심할 때 무엇을 하시나요?

코로나로 인해 집에 나가지 못해서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유튜브 보는 것이 취미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유튜브의 추천 영상을 보면 정말 뜬금없는 영상이 추천될 때가 있습니다.

화제가 된 유튜브 동영상에는 이런 댓글이 달리고는 합니다.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습니다.” 유튜브에는 사용자에게 동영상을 추천하는 알고리즘, 즉 일종의 규칙이 있는데, 이것이 사람들을 유튜브에 중독되게 하는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알고리즘은 무엇이고 유튜브는 저 수많은 영상 중에 무엇을 기준으로 우리들에게 영상을 추천하는 걸까요?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우리를 이끄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옆의 영상들은 유튜브가 현재 영상을 기반으로 추천하는 목록들이다.출처/ 유튜브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절차, 방법, 명령어 등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원하는 출력을 유도해내는 플랫폼 규칙의 모음.

유튜브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시청했던 영상, 좋아요, 구독 등의 자료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방향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알고리즘이 유튜브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을까요?

 

1. 콘텐츠 기반 필터링

여러분은 어떤 플랫폼으로 노래를 들으시나요? 저는 보통 유튜브를 이용해서 노래를 듣곤 합니다. 

그 이유는 정말 다양한 노래가 있고 익숙한 것도 있지만 

유튜브에서 원하는 노래를 들으면 유튜브가 지금 제가 듣고 있는 노래와 비슷한 장르의 노래를 추천해 

새로운 노래를 알아가는 재미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콘텐츠, 즉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추천하는 것을 '콘텐츠 기반 필터링'이라고 합니다.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게임과 관련된 영상을,드라마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드라마와 관련된 영상을 찾아서 유튜브가 추천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상을 특정 짓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이용자가 드라마를 봤을 때 단순히 다른 드라마를 추천하는 것이 아닌 드라마의 장르, 나오는 배우, 심지어 방영된 시기까지 고려해서 영상을 분류한 뒤, 이렇게 분류된 영상 중 가장 비슷하고 인기 있는 영상을 추천하게 됩니다. 

 

2. 협업 필터링

협업 필터링은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어떤 면에서 정반대의 성격을 지니는데요.

시청한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달리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추천합니다.

 

사용자 A는 평소에 라면과 콜라를 주로 구매하고 또한 생수도 자주 구매하는 편입니다.

이러한 A의 정보를 통해 알고리즘은 A와 같이 라면과 콜라를 자주 구매하는 B가 생수 또한 자주 구매할 것이라 판단해 생수를 추천합니다.

이처럼 유튜브의 알고리즘 또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성향 등 여러 특징들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찾아보는 영상을 기억하고 있다가 그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에게 그러한 영상을 추천하는 것이 '협업 필터링'의 원리입니다. 

'협업 필터링'은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달리 기존에 데이터가 충분히 쌓여있지 않으면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흔히 '콜드 스타트'라고 부르는데요. '콜드 스타트'란 '새로 시작할 때의 곤란함'을 의미합니다.

대신 '협업 필터링'은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달리 다양한 기준을 통해 영상을 추천하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알고리즘, 왜 중요한 걸까요? 

바로 동영상 플랫폼 간의 경쟁의 핵심이 체류 시간의 연장이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동영상 플랫폼에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이 늘수록 광고 노출을 통한 매출 창출 등 여러 이익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고리즘을 통해 지속적인 영상 추천으로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려 하는 것이죠.

유튜브의 CPO 닐 모한 또한 2019년 3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튜브 이용자들의 시청 시간 70%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한 결과이며, 알고리즘의 도입으로 총 비디오 시청 시간이 20배 이상 증가했다'라고 밝히며 알고리즘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과연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장점만 있는 걸까요?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사용자에게 끊임없이 자신의 플랫폼에서 영상을 시청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접할 기회를 주는 대신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정보만 제공해 시야를 넓히지 못하게 만드는 부작용 또한 존재합니다

유튜브 공유방법

동영상 시청 페이지에 보면 공유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해당 메유를 클릭하면 새창이 뜨는데 기본적으로 다른 게시판이나 sns에 공유할 경우 주소를 복사해서 넣으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