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매거진

스미싱, “배달 주소 재확인 바람”…링크 절대 누르지 마세요

by 원탁의기사 2024. 9. 9.

정부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공공기관이나 명절 선물 발송처를 사칭한 문자 메시지 사기(스미싱)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고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정부가 집계한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 문자 사기 현황에 따르면 공공기관 사칭 스미싱이 116만여건(71%), 청첩장·부고장 등 지인 사칭형 27만여건(16.8%), 투자·상품권 사칭형 2만여건(1.3%)이었다.

정부는 유포된 미끼 문자를 통해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이 설치되면 거액이 인출되는 등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히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이버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수칙에 따르면 문자에 포함된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주소(URL) 또는 전화번호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해야 한다. 또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함부로 작동시키지 않도록 평소에 스마트폰 보안 설정을 강화하고 앱 다운로드는 받은 문자 링크를 통하지 말고 스마트폰 오픈마켓을 통해 설치할 것이 권고된다.

만약 의심되는 문자 메시지가 있다면 카카오톡 채널 ‘보호나라’를 활용할 수 있다. 의심 메시지를 입력하면 10분 이내 ‘주의’ ‘악성’ ‘정상’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폰에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사진첩에 저장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사진은 삭제하는 것이 좋다.

정부는 추석 연휴 동안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과기정통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