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매거진

1조 적자 서울 지하철,직원 1000명 구조조정

by 원탁의기사 2021. 5. 25.

 

서울시 최대 산하기관인 서울교통공사가 직원을 1,000명 이상 줄인다.

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명예퇴직을 실시, 20년 이상 재직자가 과반을 점하는 기형적 인력구조에도 칼을 대기로 했다.

지난해 1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교통공사의 ‘운임 인상’ 요구에 오세훈 시장이 “지금 단계에서 인상은 없다”며 경영합리화 방안을 주문한 데 따른 조치다.

서울교통공사는 24일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현 정원 규모를 1,000명 이상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는 경영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교통공사 정원은 1만6,488명으로, 감원 규모는 정원의 6.1%에 달한다.

공사 관계자는 “기술 발달과 장비 개선으로 인력 수요가 줄어든 부분이 있다”며 “근무제도 개선을 통해 300명가량의 정원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교통공사는 자정~오전 1시 운행을 폐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교통공사는 정원 감축과 함께 인력구조 개편을 위해 장기 재직자에 대한 자발적 명예퇴직도 실시한다.

 

지금까지는 정년이 10년 남은 경우 첫 5년은 기본급의 50%, 그 이후 5년은 기본급의 25%를 지급하도록 돼 있지만, 각각 평균임금의 50%와 25%를 지급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규정이 바뀔 경우 명예퇴직자는 앞으로 1억 원을 더 받게 된다”며 “명예퇴직자 숫자만큼 신규 직원을 채용하면 1인당 연간 3,000만 원가량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교통공사는 올해 5월 기준 현원 1만6,792명 중 20년 이상 재직 직원이 9,507명으로 56.6%에 달할 정도로 기형적 구조를 띠고 있다. 각종 수당을 포함한 직원 평균임금은 지난해 7,208만 원으로, 신입사원 평균임금(3,441만 원)보다 2배 이상 높다.

서울교통공사는 서비스와 비용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4년 전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의 합병으로 출범했다.

2019년까지 서울시로부터 출자금 형식으로 1,000억 원대 지원을 받아오다가 지난해엔 3,240억 원과 보조금 360억 원을 추가로 지원받았다.

지원받는 세금이 늘어나면서 '시민의 발'이 '족쇄'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기업에서 이런 실적을 냈다면 벌써 파산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도 다녀보면 우리나라 지하철 정말 편리하게 잘되어 있다는걸 새삼 느끼게 된다.

좀 잘되어 있다 싶은 일본같은데는 더 비싸고, 우리나라가 지하철은 저럼하며 안전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깨끗하고 좋다.

택시비는 말도 못하게 저렴하고 친절한 편이다.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고 해도 공기업이 운영하니 괜찮은거지 민간이였으면 이렇게 저렴한  지하철 요금으로 이용할 수 없을 거란 생각이 든다.

다만 이 작은 나라에서 그것도 분단국가에서 집값이 말도 못하게 비싸고, 세금은 서울사람들만 내는것처럼 모든 인프라가 서울에만 몰려있다는것이 기형적이라는게 문제라면 큰 문제라서 그렇지

댓글